논문초록: 한국은 중국의 이웃이기 때문에 옛날부터 중국과 교류가 많았다. 그리고 조선반도에서는 고대로부터 한자를 써 오고 한자는 문헌 기록의 중요 수단이었다. 그래서 한국어를 배우면서 우리는 중국어와 한국어는 비슷한 부분이 있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심지어 한국어에서는 한자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한자어가 있다.
한국어 문장에서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방법에는 문장부정과 성분부정 두 종류가 있다. 문장부정은 ‘아니’와 ‘못’으로 부정의 뜻을 표현한다. 그리고 한자어 명사(어기)앞에 부정 접두사 무(無), 불(不), 미(未), 비(非) 등이 결합한 것은 성분부정이라고 한다. 이러한 어기 앞에 붙어 부정 의미를 나타내는 접두사를 부정 접두사라고 부른다.
본 논문은 주로 한·중 부정 접두사 ‘不, 非’에 대해 연구했다. ‘不, 非’는 중국어나 한국어에서 많은 사람에게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 주로한·중 부정 접두사 ‘不, 非’각각의 개념, 성질 그리고 결합 양상으로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했다. 한국어 한자어 부정 접두사가 다른 접두사에 비해 어기의 의미 속성 자질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과 결합하여 형성된 파생어가 접미사 ‘-하다’와의 결합도 매우 복잡하다. 중국인 학습자들이 명사어기에 결합할 부정 접두사에 대한 많은 오류가 나타나므로 본 논문은 주로 두개 부정 접두사에 대해 연구했다. 한국어 부정한자어 공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키워드: 부정접두사, 공통점, 차이점, 의미, 방법
목차
논문초록
中文摘要
1. 서론 -1
1.1 연구 목적-1
1.2 연구 범위와 방법-2
1.3 선행 연구-3
2. 한·중 부정 접두사의 개념 및 성격-5
2.1 한·중 부정 접두사의 개념-5
2.1.1한국어 부정 접두사의 개념-5
2.1.2중국어 부정 접두사의 개념-6
2.2 한·중 부정 접두사 ‘不’, ‘非’의 의미적 문법적 성격-6
2.2.1 ‘不’-6
2.2.2 ‘非’-11
3. 한·중 부정 접두사 ‘不, 非’의 결합 양상 대조-16
3.1 한·중 양국이 공동으로 쓰는 경우-16
3.1.1 동형동의-16
3.1.2 동형이의-17
3.1.3 이형동의-19
3.2 일국에만 쓰이는 경우-20
3.2.1 한국어에서만 쓰이는 경우-20
3.2.2 중국어에서만 쓰이는 경우-21
4. 결론-22
참고문헌-25
감사말-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