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전통음식은 왜 문제가 되는가? 음식을 보면 그 문화를 알 수 잇다는 말과 같이 음식은 인간 생활에 있어서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음식은 자연환경과 생활습관 등 그 지역, 그 나라의 사회 • 경제적 • 지리적 특성이 배어있는 귀중한 문화이기도 하다.
이러한 식생활이 작게는 가정에서부터 크게는 한 나라의 독특한 식생활 양식과 문화를 가지고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따라서 한 민족의 전통음식은 그 민족 전통문화의 하나이며 민족 고유의 소중한 유산이기도 하다.
이렇듯이 기본적으로 음식의 문제가 문화의 문제라는 점에서 담론할 가치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전통음식’의 정의를 어떻게 내려야 할 지 문제가 생기게 된다. 언제부터를 전통의 시간성으로 보아야 할 것인가 또한 그 전통성을 끝까지 유지 해야 하는가 아니면 소위 현대 생활에 맞게 바꾸어야 하는가 바꾼다면 어느 정도 변화를 주어야 전통성에 손상이 가지 않는 것인가. 어느 정도 변화를 주었다면 그것이 전통성을 가졌다고 말 할 수 있는가. 어떤 음식물의 경우 과거에 쓰던 재료를 지금은 쓰지 않게 되어 불과 얼마 전부터 재료가 바뀌었다면 그것에 대한 전통성의 평가는 어떻게 내려야 하는가.
흔히 전통은 근대라는 개념과 대비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단절의 개념으로 보는 입장(smelser 1983)과 연속적이라고 보는 입장(Bendix 1967)이 있다. 그러나 동시적, 공시적인 관점에서 전통과 근대는 끊임없이 갈등상태에 있으면서 공존하는 것으로 전통은 새로운 변화에 의하여 대체되려는 경향을 띠고 한편으로 근대화 과정은 전통을 약화시키려는 경향을 지닌다. 따라서 전통문화의 현대적 수용과정에서는 기본적으로 실용성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얼마나 현실적인 이해가 이루어졌느냐를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전통을 연속적인 입장에서도 소극적, 수동적인 수용을 강조하는 보존적 전승론으로서 전통음식문화를 고수하기 보다는 진보적으로 적극적, 능동적인 재창조를 강조하는 창조적 발전 방향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와 미래의 생활에 알맞은 문화적 주체성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한억, 1995:1~3) 즉, 전통사회에서 현대사회로 전환되어 가는 과정에서 각종 사회적 변혁과 가치관의 변화로 인하여 아노미 상태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전통이 변화에 장애로 여겨졌으며 비합리, 비효율이라는 명목으로 의도적인 파괴가 진행되어 오면서 이는 한국민족의 열등의식으로 까지 귀결되었다. 또한 이러한 변화속도는 세대간, 계급간, 계층간, 지역간, 각 부문간 이념사이에 갈등을 야기하고 그러한 변화와 시대적 욕구에 걸맞는 문화적 양식을 형성하지 못한 채 계속적인 갈등이 심화되어 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음식문화 역시 그 같은 맥락에 놓이게 되었으며 이제 그 변화에 대한 적절한 수용 방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전통음식은 하나의 유물로 전락될 것이다. 이 문제의 심각성은 단순히 전통음식이 사라져가는 차원이 아니라 문화의 상실을 의미하며 전통문화의 변화과정에서 다음 세대의 문화담당 주체자들의 생존과도 직결된 문제가 아닐 수 없다.(한상복 외, 1989:25) 특히 전통음식의 상품화는 지역음식 문화 창달 및 지역의 특산물 개발 및 발전, 음식업의 활성화 등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에 있어서 유익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그 의미와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미 프랑스, 이태리, 스페인 등의 국가에서는 향토성이 있는 전통음식에 대한 자부심과 맛있는 음식에 대한 회구심이 강한 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조리법 등이 발달되어 맛있는 음식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음식들은 전 세계로 전파되어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는 한편 이 지역에서는 자원의 하나로 상품화 하여 수입을 올리는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각 지역별로 향토색이 짙은 전통음식을 상품으로서 개발할 때가 아닌가 싶다. 더 나아가서는 지역의 전통과 개성을 살리는 핵심적인 지방문화의 일부분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을 바로 하는 가운데 지금까지 논의 되었던 내용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살펴보게 될 것이며 상품화에 있어서 문제점과 향토음식의 상품화 추진방안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