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피동 표현은 중국인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문법 중 하나이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피동 표현의 사용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우선 제1장에서는 이 논문의 연구 목적, 연구 대상 그리고 연구 방법을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피동 표현의 개념 및 유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장에서는 접미사 ‘-이-, -히-, -리-, -기-’에 의한 파생적 피동 표현, ‘-아/어지다’에 의한 통사적 피동 표현, ‘-되다, -받다, -당하다’에 의한 어휘적 피동 표현의 세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파생적 피동 표현은 접미사적 피동 표현, 형태적 피동 표현, 혹은 단형 피동 표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어휘적 피동 표현은 타동성 체언과 결합하여 피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피동 표현이다. 통사적 피동 표현은 ‘-아/어지다’와 형용사나 동사를 결합하여 피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피동 표현이다. 제3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피동 표현에 관련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고 오류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은 주로 한국에 있는 대학생과 중국 국내 대학생, 한국어학원 학생을 선정하였으며 문항 배치 방면은 총 15개이다. 설문 조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피동 표현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자주 범하는 오류의 양상을 살펴보고 몇 가지 오류의 원인을 발견하였다. 첫째, 한국어 피동 표현에 개념이나 사용의 제약에 관한 지식을 내면화하지 못해 예문에 따라 기계적으로 모방하는 경우이다. 둘째, 피동 표현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중국어의 간섭을 받아 한국어 피동 표현의 특성을 간과하여 중국어 피동 표현의 규칙을 한국어 피동 표현에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셋째, 한국어 피동 표현에 관한 규칙적인 용법과 불규칙적인 용법을 구별하지 못해 혼용하는 경우이다. 4장에서는 앞에 논의된 내용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피동 표현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자주 범하는 오류 양상의 원인을 고찰함으로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피동 표현 교육 방안의 설계에 있어서 의의가 있는 연구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피동 표현 교육 방안을 개발하지 못한 것이 이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
주제어: 피동 표현, 파생적 피동 표현, 통사적 피동 표현, 어휘적 피동 표현
차례
초록
中文摘要
1. 서론-1
1.1-연구 목적-1
1.2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1
1.3 선행 연구 검토-2
2. 한국어 피동 표현의 개념과 유형-2
2.1 피동 표현의 개념-2
2.2 피동 표현의 유형-3
3. 학습자의 피동 표현의 오류 양상과 원인 분석-9
3.1 오류 양상의 분석-10
3.2 오류 원인의 분석-12
4. 결론-13
참고 문헌-14
부록-16
감사의 글-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