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중한 양국은 지리 위치가 매우 가깝고 문화 교류도 긴밀하기 때문에 중국어와 한국어는 문법적으로 두 가지 언어 계통에 속하지만 비슷한 점이 있다. 한국어 ‘-적’이 그 중에서 제일 대표적인 한자 형태소인데 ‘的’의 뜻이다. 선행 연구를 보면 한국어의 ‘-적’과 중국어 구조조사 ‘的’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지만, 두 언어 ‘-적(的)’에 대한 대조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두 언어의 ‘-적(的)’의 용법을 고찰하고 서로 어떻게 대응되는지 분석하였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 ‘-적’과 중국어 구조조사 ‘的’을 연구하려는 목적과 선행연구를 밝히고 기존의 한국어 ‘-적’과 중국어 구조조사 ‘的’의 대조 연구와 한국 및 중국에서 각각의 ‘的’에 대한 연구를 개괄적으로 정리했다.
제2장에서 한국어 접미사 ‘-적’의 용법을 서술적 구성, 명사적 구성, 부사적 구성 세가지로 나눠 알아보고 ‘-적’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국어에서 ‘的’은 명사, 동사, 형용사, 구와 결합하여 다양한 용법을 하고 있다.
제3장에서 한국어 ‘-적’과 중국어 구조조사 ‘的’의 출현환경을 바탕으로 하여 대조분석했다. 한국어의 ‘-적’과 중국어 구조조사 ‘的’이 서로 대응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제시하면서 두 언어의 ‘-적(的)’이 서로 대응하는 표현을 표로 정리해 보았다.
이 과제는 한국어 접미사 ‘적’과 중국어 구조조사 ‘的’ 각자 계통 안에 의미 용법과 특징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이 밝히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접미사와 중국어의 구조조사를 이해할 때 도움이 되게 한다. 그리고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생에게 또는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인 학생에게 ‘-적(的)’을 학습하는데 다소 도움이 되고자 한다.
키워드: 접미사 ‘적’ 구조조사 ‘的’ 대조연구
목차
감사의글
국문초록
中文摘要
제1장 서론-I
1.1 연구의 목적-1
1.2 연구대상과 방법-1
1.3 선행 연구-1
제2장 한국어 ‘-적’과 중국어 구조조사 ‘的’의 용법과 특성-3
2.1 한국어 ‘-적’의 용법과 특성-3
2.1.1 ‘-적’의 용법-3
2.1.2 ‘-적’의 통사론적 특성-4
2.1.3 ‘-적’의 의미론적 특성-6
2.2 중국어 구조조사 ‘的’의 의미과 용법 -6
2.2.1 구조조사 ‘的’ 의미-6
2.2.2 ‘的’의 후치 품사-7
2.2.3 ‘X的’ 뒤에 피수어의 생략-8
2.2.4 ‘X的’의 수식어-8
2.2.5 'X的'의 부정법-8
제3장 한국어 ‘-적’과 중국어 구조조사 ‘的’의 용법 대조-10
3.1 한국어의 '적'과 중국어의 '的'이 서로 대응하는 경우-10
3.1.1 한국어의 'N₁-적 N₂'에 대응하는 중국어-10
3.1.2 한국어의 'N적이다'에 대응하는 중국어-11
3.2 한국어 '-적'과 중국어 '-的'이 서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11
제4장 결론-13
참고문헌-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