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에서는 설문지조사 방법으로 중국어권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사동문의 사용 양상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2장에서는 한국어 사동의 정의, 분류, 사동문의 유형별 의미적 특성과 통사적 특성을 재고하였다. 한국어 사동을 파생적 사동과 통사적 사동으로 양분하는 이가 있고, 여기에 어휘적 사동을 추가하여 세 가지로 나누는 이가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사동을 한국의 학교 문법에 따라 파생적 사동과 통사적 사동으로 양분하였다. 파생적 사동은 사동 접미사인 ‘-이-, -히-, -리-, -기-, -우-, -구-, -추-, -시키-’ 등에 의해서 실현되는 것이다. 통사적 사동은 서술어가 ‘-게 하다’ 혹은 ‘-게 만들다’인 것이다. 통사적 사동은 사동사 파생이 불가능한 동사는 ‘-게 하다’와 결합하여 사동문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동사 파생이 가능한 동사와 결합하여 사동문을 만들 수도 있다. 통사적 사동의 피사동주 뒤에는 목적격 조사 ‘을/를’을 붙여서 목적어로 나타나거나 ‘에게’, ‘한테’, ‘로 하여금’을 붙여서 부사어로 나타나거나, 주격 조사 ‘이/가’를 붙여서 된 주격형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그리고 3장에서는 학습자가 범하는 한국어 사동문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그 오류 원인을 고찰하였다. 파생적 사동문의 활용에 있어서 학습자가 범하는 오류는 주로 피사동주 뒤에 붙일 수 있는 조사(助詞)와 주동사 어근 뒤에 결합되는 사동 접미사를 정확하게 식별하지 못하는 데 있다. 파생적 사동문보다 통사적 사동문을 활용할 적에 학습자가 범하는 오류가 더 많다. 피사동주 뒤에 붙일 수 있는 조사에 대한 정확한 식별, 사동주와 피사동주를 높이는 방법, 사동문이 쓰일 수 있는 상황 등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학습자가 많다. 학습자가 한국어 사동문을 표현할 적에 오류를 범하는 주요한 원인은 한국어 사동문의 구조적인 특성을 분명히 이해하지 못하는 데 있다. 마지막 4장에서는 이 논문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자주 범하는 한국어 사동문의 오류 양상과 그 오류 양상의 원인을 고찰함으로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사동문 교육 방안의 설계에 있어서 의의가 있는 연구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사동문 교육 방안을 개발하지 못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한계점이다. 이러한 아쉬운 점을 여두에 두고 향후의 과제로 남기도록 할 것이다.
주제어: 사동법, 사동문, 파생적 사동문, 통사적 사동문
차례
초록
中文摘要
1. 서론-1
1.1 연구 목적-1
1.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1
1.3 선행 연구 검토-1
2. 한국어 사동의 정의와 분류-2
2.1 사동의 정의-2
2.2 사동의 분류-3
3. 학습자의 사동 표형의 오류 양상과 원인 분석-6
3.1 오류의 양상 분석-6
3.2 오류의 원인 분석-8
4. 결론-10
참고 문헌-10
부록-12
감사의 글-16